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Tags
- 웹
- 한번에끝내는JavaSpring웹개발마스터초격차패키지Online
- 재택근무
- 한번에끝내는JavaSpring웹개발마스터초격차패키지Online강의
- 리눅스
- 디자인
- javabasic
- java기초
- 디자인패턴
- DesignPattern
- 데이터베이스
- Spring
- 직장인자기계발
- 패캠챌린지
- 자바
- 직장인인강
- js
- 자바기본
- DB
- 자바기초
- 자바예제
- ncs
- linux
- 자바연습문제
- 국비
- 스프링
- 패스트캠퍼스
- String
- java
- 패스트캠퍼스후기
Archives
- Today
- Total
FIF's 코딩팩토리
서버이중화, Failover, LoadBalance 뜻 본문
반응형
서버이중화란 말 그대로 서버를 이중화 한다는 뜻이다.
서버 이중화는 두 가지의 큰 목적을 가지고 있다.
첫 번째는 Failover(시스템 대체 작동) 이고,
두 번째는 LoadBalance(부하 균등) 이다.
Failover란 평소 사용하는 서버와 그 서버의 클론 서버를 가지고 있다가 사용 서버가 장애로 사용이 어렵게 될 경우, 클론 서버로 그 일을 대신 처리하게 해서 무정지 시스템을 구축해 주는 것을 의미한다.
기업에서는 서버가 다운되면 그 시간에 비례하여 기하급수적인 손해가 발생하므로 Failover를 반드시 해야 한다.
LoadBalance란 두 개 이상의 서버가 일을 분담처리해 서버에 가해지는 부하를 분산시켜 주는 것을 말한다.
여러 대의 처리기-서버가 병렬로 작업을 처리하도록 하여 서버의 부하를 균형있게 잡아준다.
한 처리기에 너무 많은 부하가 걸리거나 너무 적게 걸려 낭비되지 않도록 작업을 적절히 분배하고, 필요한 경우에는 작업을 한 처리기에서 다른 처리기로 이동시키기도 한다.
보통은 사용자가 처리기-서버에 부하가 걸릴만한 상황을 고려하여 조건을 설정하고 조건이 충족된 상황에서 다른 서버가 일을 분담처리 하도록 한다.
반응형
'Database(데이터 베이스)' 카테고리의 다른 글
MariaDB 기본 SQL문장 사용법 (0) | 2019.05.24 |
---|---|
CentOS7에 MariaDB설치후 SQL-developer로 접근 (0) | 2019.05.23 |
DAO vs DTO vs VO (0) | 2019.05.23 |
Oracle RAC(Real Application Cluster)란? (0) | 2019.05.21 |
CentOS에 Oracle12c 설치후 local에서 접속하기 (0) | 2019.05.16 |
Commen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