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 디자인패턴
- 패스트캠퍼스후기
- String
- 자바기본
- js
- 한번에끝내는JavaSpring웹개발마스터초격차패키지Online
- 디자인
- 재택근무
- 자바기초
- 패캠챌린지
- 스프링
- 한번에끝내는JavaSpring웹개발마스터초격차패키지Online강의
- Spring
- ncs
- DesignPattern
- DB
- 자바예제
- 데이터베이스
- 자바
- javabasic
- 국비
- java기초
- linux
- 자바연습문제
- 웹
- java
- 패스트캠퍼스
- 직장인자기계발
- 리눅스
- 직장인인강
- Today
- Total
목록html (3)
FIF's 코딩팩토리
DOM API를 이용하면 다음과 같은 식으로 HTML 엘리먼트의 내용을 변경할 수 있다. DOM 트리 탐색한다. 문서 내에서 특정 엘리먼트를 찾는다. 문서의 내용을 변경한다. 문서에 새로운 내용을 추가한다. 문서 탐색 다음 예제에서는 showTags라는 재귀 함수를 이용해 전체 DOM 트리를 탐색한 다음 모든 엘리먼트의 태그명을 나열한다. This is a sample document: 1 2 3 showTags(document)의 출력 결과는 다음과 같다. HTML HEAD TITLE BODY DIV UL LI LI LI SCRIPT Document 객체는 모든 DOM 트리의 루트이지만 해당 트리 내의 HTML 엘리먼트를 나타내지 않는다. document.documentElement 프로퍼티는 문서의 ..
![](http://i1.daumcdn.net/thumb/C150x150/?fname=https://blog.kakaocdn.net/dn/du2tVJ/btqw781dGhh/y8qfbbpByCylKeKusKHfMK/img.gif)
DOM 문서 객체 모델(The Document Object Model, 이하 DOM) 은 HTML, XML 문서의 프로그래밍 interface 이다. DOM은 문서의 구조화된 표현(structured representation)을 제공하며 프로그래밍 언어가 DOM 구조에 접근할 수 있는 방법을 제공하여 그들이 문서 구조, 스타일, 내용 등을 변경할 수 있게 돕는다. DOM 은 구조화된 nodes와 property 와 method 를 갖고 있는 objects로 문서를 표현한다. 이들은 웹 페이지를 스크립트 또는 프로그래밍 언어들에서 사용될 수 있게 연결시켜주는 역할을 담당한다. 웹 페이지는 일종의 문서(document)다. 이 문서는 웹 브라우저를 통해 그 내용이 해석되어 웹 브라우저 화면에 나타나거나 H..
![](http://i1.daumcdn.net/thumb/C150x150/?fname=https://blog.kakaocdn.net/dn/bMcHqO/btqwsXlvS9o/9eCKbSRYkiaK3k0iyaUA10/img.png)
폼은 알게 모르게 웹에서 많이 사용합니다. 사용자 의견이나 정보를 알기 위해 입력할 큰 틀을 만드는 데 사용되기 때문입니다. 폼은 입력된 데이터를 한 번에 서버로 전송합니다. 전송한 데이터는 웹 서버가 처리하고, 결과에 따른 또 다른 웹 페이지를 보여줍니다. 이번 글에서 우리가 잘 모르는 폼의 내부적인 동작과정부터 폼의 큰 틀을 구성하는 엘리먼트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1 폼 태그 동작방법 1. 폼이 있는 웹 페이지를 방문합니다. 2. 폼 내용을 입력합니다. 3. 폼 안에 있는 모든 데이터를 웹 서버로 보냅니다. 4. 웹 서버는 받은 폼 데이터를 처리하기 위해 웹 프로그램으로 넘깁니다. 5. 웹 프로그램은 폼 데이터를 처리합니다. 6. 처리결과에 따른 새로운 html 페이지를 웹 서버에 보냅니다. 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