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 자바예제
- 패스트캠퍼스
- 디자인패턴
- ncs
- 자바기초
- javabasic
- 자바기본
- 한번에끝내는JavaSpring웹개발마스터초격차패키지Online강의
- DB
- java기초
- 한번에끝내는JavaSpring웹개발마스터초격차패키지Online
- java
- 리눅스
- 국비
- 직장인인강
- 재택근무
- 패캠챌린지
- String
- 자바연습문제
- 데이터베이스
- 웹
- 자바
- linux
- 스프링
- 디자인
- Spring
- 직장인자기계발
- 패스트캠퍼스후기
- js
- DesignPattern
- Today
- Total
목록기타 (21)
FIF's 코딩팩토리

2차 세계대전 동안에는 암호화 기계로 악명 높았던 에니그마의 암호를 해독했던 일을 비롯해 컴퓨팅 분야에서는 다양한 발전이 일어났다. 봄브(bombe)나 콜로서스와 같은 컴퓨팅 기기들은 오늘날 볼 수 있는 전자 컴퓨팅 기기로 나아가는 길을 열었다. 전쟁에서 이기기 위해 엄청나게 많은 계산을 해야 하는 일들이 생기면서 좀 더 빠르고 기계화된 컴퓨팅 기기가 필요하게 되었다. 수많은 발전이 이곳저곳에서 일어나는 가운데 1945년 미국에서 만들어진 컴퓨터 에니악(ENIAC)은 전기로 동작할 뿐만 아니라 프로그램을 사용해 기능을 자유롭게 바꿀 수도 있었다. 암호화 기기 에니그마 에니그마는 1, 2차 세계대전 사이에 개발된 암호화 장치로 독일군의 비밀 통신을 위해 사용되었다. 에니그마의 장점은 한마디로 무려 150퀸..

영국 왕립학회 회원이자 대영제국 훈장을 받았던 앨런 튜링(1912~1954)은 오늘날 모르는 사람이 없을 만큼 유명하지만 언제나 그랬던 것은 아니다. 블레츨리 파크의 암호화 학교가 2차 세계대전 내내 적의 암호 메시지를 수집하고 앨런 튜링이 수집한 암호해독에 중요한 역할을 했다는 사실이 1970년대 뒤늦게 공개되기 전까지는 그의 이름과 업적은 순수수학과 컴퓨터 과학이라는 학문 영역에 갇혀 있었다. 튜링은 일찍 세상을 떠났지만, 그의 삶은 여러 사건과 발견 들로 가득 차 있다. 그의 부모는 영국 식민지였던 인도를 관리하던 공무원이었다. 부모님은 간간히 영국에 돌아왔으며, 튜링은 다른 집에 맡겨진 채 대부분의 시간을 부모님과 떨어져 살았다. 튜링은 기숙학교에 입학했으며, 운동보다는 과학과 수학을 더 좋아했다..

산업혁명은 섬유 산업혁명이라 해도 과언이 아니었다. 방적기와 방직기의 기계화 덕분에 자동화를 통한 생산성 향상이 이루어졌다. 기계화를 통한 생산성 향상을 목격한 사람들은 더 좋은 기계를 만들 수 없을까 고민했다. 1725년 프랑스 리옹의 방직공들은 다마스크 천에 무늬를 넣는 지루한 과정을 자동화할 방법을 찾고 있었다. 일반 무늬 없는 천을 만들 때는, 세로로 놓인 기다란 날실들이 교대로 올라가고 날실이 올라갈 때마다 씨실이 날실을 가로로 거슬러 지나가며 천을 만든다. 그러나 천에 무늬를 넣으려면 씨실이 거슬러 지나가기 전에 특정한 날실만 올라 가야 한다. 이런 작업을 일일이 손으로 하려면 올라갈 날실을 고르는 작업이 너무 성가셔 천에 넣을 수 있는 무늬가 제한될 수밖에 없었 다. 고리를 사용해 실을 들어..

‘컴퓨팅은 단순히 컴퓨터를 다루고 연구하는 일이 아니라 우리 삶 전반을 다루는 일이다’ - 니콜라스 네그로폰테, 1995 컴퓨터는 없는 곳을 찾기 어려울 만큼 곳곳에 널려 있다. 우리가 미처 깨닫기도 전에 우리 삶 이곳저곳에 영향을 끼치면서 말이다. 컴퓨터 없이 살았던 시절은 이제 잘 생각나지도 않는다. 컴퓨터가 사회 모든 곳에서 사용되는 방식과 이로 인해 우리의 생활환경이 바뀌는 속도는 정말 놀랍다. 컴퓨터는 사회뿐만 아니라 사람들의 인식까지도 넓고 깊게 지속해서 변화시켰다. 사람들이 컴퓨터를 사용하는 방식에 따라 컴퓨터의 목적도 함께 변했다. 그런데 문득 한 가지 질문이 떠오른다. 컴퓨팅이란 과연 무엇일까? 컴퓨팅: 숫자 세기 그 이상 간추린 옥스퍼드 사전 1944년 판을 찾아보면 너무나도 간단한 대..

인공지능을 구현하기 위한 초기 단편적인 방법들 이후 여러 방법이 개발되었고 다양한 일들이 일어났다. 체스 알고리즘도 그 가운데 하나지만, 딥블루가 체스 챔피언 가리 카스파로프에게 3.5 대 2.5로 승리한 후에도 줄곧 시대에 뒤떨어진 알고리즘으로 간주되었다. 딥블루가 지능을 갖춘 장치라고 말하기는 어렵다. 딥블루 동작 방식이 최대한 많은 수를 미리 살펴보고(일반적으로 6~8수), 가장 좋은 수를 선택해 두는 것이었기 때문이다. 딥블루는 병렬 컴퓨터를 사용해 수많은 수의 조합을 살펴보았으며, 경험 많은 최고 실력의 체스 선수들로부터 얻은 전문 지식을 사용해 조합을 평가했다. 이후 나온 알고리즘들은 딥블루처럼 무작정 모든 경우를 뒤지지 않는다. 컴퓨터를 이용해 문제를 풀어본 사람들은 독특한 혹은 비전통적인 ..

1970년대 칩 형태의 마이크로프로세서가 싼 값에 대량생산되었다. 맨 처음 출시된 마이크로프로세서는 동작 속도도 높지 않았고 기능도 제한적이었기 때문에 주로 전자계산기나 간단한 제어 시스템에 사용되었다. 당연하게도 하나의 칩에 집적된 컴퓨팅 파워의 크기는 점점 증가했으며, 덕분에 전자계산기나 다름없었던 기기들의 성능이 오늘날 컴퓨팅 작업을 처리하는 데 충분할 만큼 높아졌다. 1970년대 후반, 소비자 가전 산업에서는 흥미진진한 제품들이 대거 출시되었으나 컴퓨팅과는 거의 관련이 없었다. 그러나 전통적인 컴퓨터 회사들이 소비재 사업의 가치와 매력을 깨닫자 새로운 형태의 컴퓨터인 개인용 컴퓨터가 탄생하였다. 1950년대 컴퓨터는 여러 장치를 이어 붙여 만든 탓에 창고를 가득 채울만큼 컸지만, 이후 지속적으로 ..

대학교수들이 세상의 모든 수학 계산을 수행하는 데 필요한 컴퓨팅 기계의 양을 고민하던 당시, 두 남자가 대서양을 건너 영국에서 미국으로 가는 배에 몸을 실었다. 두 사람은 당시 영국에서 가장 크고 잘 알려진 회사로 손꼽히던 라이언스(J. Lyons & Co. Ltd)의 직원으로, 관리부서 업무를 자동화하는 방법을 찾고자 했다. 그들은 자신들이 살펴봐야 할 첫 번째 나라가 미국이라고 생각했다. 미국은 배급제 따위는 없고, 역동적이었으며, IBM이 세워진 사업 중심의 나라인 만큼 자신들이 찾고 있는 컴퓨팅 기계 솔루션이 있을 것이라고 생각했기 때문이다. 이는 1947년 봄의 일이었다. 새로운 시도 당시 라이언스는 영국에서 가장 규모가 큰 식품 회사였다. 특히 시내 길모퉁이마다 자리 잡은 찻집으로 유명했다. ..

1943년, 폰 노이만은 폭발과 충격파에 관한 전문가로 영국을 방문했다. 그는 미국에 돌아왔을 때, 메릴랜드 기차역에서 우연히 초당 333번의 곱셈을 수행할 수 있는 전자 컴퓨팅 기계가 불과 120km 떨어진 필라델피아에서 제작 중이라는 소식을 들었다. 그 기계가 바로 에니악(ENIAC)이었다. 궁금함을 참지 못한 폰 노이만은 바로 달려갔다. 에니악 제작을 이끌었던 존 에커트(J. Presper Eckert)는 폰 노이만을 본 적은 없었으나 그의 명성은 익히 알고 있었다. 에커트는 폰 노이만의 질문을 들으면 질문의 수준으로 그가 정말 천재인지 알 수 있다고 말했다. 폰 노이만의 첫 번째 질문은 에니악의 논리 구조에 관한 것이었다. 에커트의 기준에서도 그는 두말할 나위 없는 천재였다. 에니악은 아타나소프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