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 재택근무
- 디자인
- String
- DesignPattern
- js
- 한번에끝내는JavaSpring웹개발마스터초격차패키지Online
- Spring
- 자바기본
- 패캠챌린지
- ncs
- 한번에끝내는JavaSpring웹개발마스터초격차패키지Online강의
- 패스트캠퍼스후기
- 직장인인강
- DB
- 스프링
- java기초
- 패스트캠퍼스
- 국비
- 디자인패턴
- 자바기초
- 데이터베이스
- javabasic
- 자바
- 웹
- linux
- 직장인자기계발
- 리눅스
- 자바연습문제
- java
- 자바예제
- Today
- Total
목록자바 (85)
FIF's 코딩팩토리
컴파운드 패턴(Compound Pattern) 정의 두 개 이상의 패턴을 결합하여 일반적으로 자주 등장하는 문제들에 대한 해법을 제공하는 패턴이다. 컴파운드 패턴은 딱히 정해진 의미, 단점, 장점이 뚜렷하지 않다. 패턴을 잘 활용하기 위해 서로 다른 패턴을 섞어쓰는 디자인 방법이기 때문이다. 다만, 주의할점은 패턴 몇 개를 결합해서 쓴다고 무조건 컴파운드 패턴이 되는 것은 아니다. 컴파운드 패턴이라 불릴 수 있으려면 여러 가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용도로 쓰일 수 있는 일반적인 해결책 이어야 한다. 웹에서 벌어지는 다양한 요청과 이에 대응하는 로직을 처리하고 결과를 브라우저로 보여주기 위한 MVC 패턴이 대표적이다. 가장 먼저 책에서 등장장한 오리 예제를 살펴보자. 오리들은 꽥꽥거리는 행동이 들어있다. ..
![](http://i1.daumcdn.net/thumb/C150x150/?fname=https://blog.kakaocdn.net/dn/Hzvwn/btqvVD9xQkt/UPtHcrD0NyJKqOsDKJGHz1/img.png)
프록시(Proxy Pattern) 패턴 정의 어떤 객체에 대한 접근을 제어하기 위한 용도로 대리인이나 대변인에 해당하는 객체를 제공하는 패턴이다. 프록시는 보통 다른 객체에 대한 대변자라 봐도 무방하다. 프록시는 자신이 대변하는 객체와 그 객체에 접근하고자 하는 클라이언트 사이에서 여러가지 방식으로 작업을 처리한다. 보안을 위해 인터넷을 통해 들어오는 메소드 호출을 쫓아내거나 게으른 객체들을 대신해 끈기 있게 기다리는 일을 맡기도 한다. 프록시의 종류 1. 원격 프록시 - 원격 프록시는 다른 JVM에 들어 있는 객체의 대변인에 해당하는 로컬 객체이다. 프록시의 메소드를 호출하면 그 호출이 네트워크를 통해 전달되어 결국 원격 객체의 메소드가 호출되고 그 결과는 다시 네트워크를 통해 프록시를 거쳐 클라이언트..
![](http://i1.daumcdn.net/thumb/C150x150/?fname=https://blog.kakaocdn.net/dn/b7XvbY/btqvWeVIVxP/dxZkkQAKkBDDG3q6qzzwrK/img.png)
스테이트 패턴(State Pattern) 정의 객체의 내부 상태가 바뀜에 따라 객체의 행동을 바꿀 수 있다. 마치 객체의 클래스가 바뀌는 것과 같은 결과를 얻을 수 있다. 스테이트 패턴은 상태를 별도의 클래스로 캡슐화한 다음 현재 상태를 나타내는 객체에게 행동을 위임한다. 따라서 내부 상태가 바뀌면 행동이 달라지게 된다. if, switch문과 같은 분기문을 패턴을 이용해 캡슐화, 분리한다고 생각하면 된다. “객체의 클래스가 바뀌는 것과 같은” 이라는 표현을 쓴 이유는? 클라이언트 입장에서는 사용하는 객체의 행동이 완전히 달라지면 마치 그 객체가 다른 클래스로부터 만들어진 객체처럼 느껴진다. 실제로는 다른 클래스로 변신한게 아니고 구성을 통해 객체의 상태를 여러가지로 바꿔가며 사용하는 것이다. 스테이트 ..
![](http://i1.daumcdn.net/thumb/C150x150/?fname=https://blog.kakaocdn.net/dn/2aCPC/btqvVFGe04Z/1Hkzq4zo1682JzCwA2NJR1/img.png)
컴포지트 패턴(Composite Pattern) 정의 객체들을 트리구조로 구성하여 부분과 전체를 나타내는 계층구조로 만들 수 있다. 클라이언트에서 개별 객체와 다른 객체들로 구성된 복합 객체(composite)를 똑 같은 방법으로 다룰 수 있다. 식당 메뉴를 예로 들어 생각해본다면, 중첩되어 있는 메뉴 그룹과 메뉴 항목을 똑같은 구조 내에서 처리할 수 있게끔 하는 것이다. 메뉴와 메뉴항목을 같은 구조에 집어넣어서 부분-전체 계층구조를 생성할 수 있다. 이런 복합구조를 사용하면 복합 객체와 개별 객체에 대해 구분없이 똑 같은 작업을 적용할 수 있다. 컴포지트 패턴 클래스 다이어그램 컴포지트 패턴을 메뉴에 적용시킨다면 우선 구성요소의 인터페이스를 만드는 것부터 시작한다. 이 인터페이스는 메뉴와 메뉴 항목 모..
![](http://i1.daumcdn.net/thumb/C150x150/?fname=https://blog.kakaocdn.net/dn/bPXPKe/btqvYqApx29/4MzhjX8k6i42U4dEClGg1K/img.png)
퍼사드 패턴(Facade Pattern) 정의 어떤 서브시스템의 일련의 인터페이스에 대한 통합된 인터페이스를 제공한다. 퍼사드에서 고수준 인터페이스를 정의하기 때문에 서브시스템을 더 쉽게 사용할 수 있다. 패턴을 사용할때는 항상 패턴이 어떤 용도로 쓰이는지를 잘 알아둬야 한다. 퍼사드 패턴은 단순화된 인터페이스를 통해 서브시템을 더 쉽게 사용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용도로 쓰인다. 홈씨어터로 퍼사드 패턴 구현 전선과 프로젝터를 설치하고, 각 장치들을 케이블로 연결하는 등등 여러 인터페이스들이 나열되어 있다. DVD영화를 보려면? 1. 팝콘 기계를 켠다. poper.on(); 2. 팝콘 튀기기 시작. poper.pop() 3. 전등을 어둡게 조절. light.dim(10) 4. 스크린을 내린다. scree..
![](http://i1.daumcdn.net/thumb/C150x150/?fname=https://blog.kakaocdn.net/dn/cWA0lR/btqvX02Zb1A/X8PKzNKol2lwnJjHKQ2CLk/img.png)
어댑터 패턴(Adapter Pattern) 정의 한 클래스의 인터페이스를 클라이언트에서 사용하고자 하는 다른 인터페이스로 변환한다. 어댑터를 이용하면 인터페이스 호환성 문제 때문에 같이 쓸 수 없는 클래스들을 연결해서 쓸 수 있다. 호환되지 않는 인터페이스를 사용하는 클라이언트를 그대로 활용할 수 있다. 이렇게 함으로써 클라이언트와 구현된 인터페이스를 분리시킬 수 있으며, 향후 인터페이스가 바뀌더라도 그 변경 내역은 어댑터에 캡슐화 되기 때문에 클라이언트는 바뀔 필요가 없어진다. 어댑터 패턴 클래스 다이어 그램 전기 콘센트를 보면 이해가 쉽다. 한국의 표준 플러그를 일본 전원 소켓에 바로 끼우지 못해 동그란 모양을 일자로 바꿔주는 어댑터를 끼워야 한다. 이와 같이 어댑터는 소켓의 인터페이스를 플러그에서 ..
![](http://i1.daumcdn.net/thumb/C150x150/?fname=https://blog.kakaocdn.net/dn/bCdqSr/btqvRasTNO5/cPnyplxzKRwCDuLDmDXwt0/img.png)
이터레이터 패턴(Iterator Pattern) 정의 컬렉션 구현 방법을 노출시키지 않으면서도 그 집합체 안에 들어있는 모든 항목에 접근할 수 있는 방법을 제공한다. 컬렉션 안에 들어있는 모든 항목에 접근하는 방식이 통일되어 있으면 어떤 종류의 집합체에 관해서도 사용할 수 있는 다형적인 코드를 만들 수 있다. 이터레이터 패턴을 사용하면 모든 항목에 일일이 접근하는 작업을 컬렉션 객체가 아닌 반복자 객체에서 맡게 된다. 이렇게 하면 집합체의 인터페이스 및 구현이 간단해질 뿐 아니라, 집합체에서는 반복작업에서 손을 떼고 원래 자신이 할일(객체 컬렉션 관리)에만 전념할 수 있다. 이터레이터 패턴 클래스 다이어그램 두개의 서로다른 식당이 있고, 각각의 식당에서 메뉴를 구현한다고 가정한다. MenuItem.jav..
![](http://i1.daumcdn.net/thumb/C150x150/?fname=https://blog.kakaocdn.net/dn/kBiGg/btqvRHqrCsc/nLsgMXBHArIcj0tdJ8ZRpK/img.png)
Iterator는 자바의 컬렉션 프레임워크에서 컬렉션에 저장되어 있는 요소들을 읽어오는 방법을 표준화한 것이다. 컬렉션 프레임워크란 데이터를 저장하는 클래스들을 표준화한 설계이다. 컬렉션 프레임워크는 아래 그림과 같이 데이터를 저장하는 구조에 따라 3가지 인터페이스로 구성된다. Set, List, Map은 어떤 데이터들의 집합체라고 볼 수 있다. Set과 List는 데이터의 그룹(Collection)이다. Set은 순서를 유지하지 않는 데이터 집합이다. 데이터의 중복을 허용하지 않고, HashSet, TreeSet 등이등이 있다. List는 순서를 유지하는 데이터의 집합이다. 데이터의 중복이 허용되고, LinkedList, ArrayList 등이등이 있다. Map은 키(Key)와 값(Value)으로 이루..